맨위로가기

도스트 모하마드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792년 칸다하르에서 태어난 파슈툰 가문 출신으로, 바라크자이 부족의 우두머리이자 두라니 왕조의 관리였던 파인다 칸의 아들이다. 그는 형 파테 칸과 함께 시크 제국에 맞서 싸웠으나, 형의 죽음 이후 가즈니와 카불을 장악하며 권력을 강화했다. 1835년 아미르를 자칭하며 통치하다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패배하여 추방되었으나, 1843년 귀환하여 아프가니스탄을 재통치했다. 이후 주변 지역 통합에 힘쓰며 영국과 우호 조약을 체결하고, 1863년 헤라트를 병합하여 아프가니스탄의 세력을 확장했다. 헤라트 점령 13일 후 사망했으며, 아들 셰르 알리 칸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라크자이 왕조 - 모하마드 자히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는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국왕으로, 국제 관계 증진, 현대화 추진,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했으며, 쿠데타로 망명 후 귀국하여 국부로 존경받다 2007년에 사망했다.
  • 바라크자이 왕조 - 하비불라 칸
    하비불라 칸은 1872년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나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근대화, 교육 개혁을 추진했으나 1919년 암살당했다.
  •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 아흐마드 샤 두라니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7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며 두라니 제국을 건국한 초대 샤이자, 나디르 샤 암살 후 권력을 장악하여 아프가니스탄을 통일하고 인도를 여러 차례 침공하는 등 군사적 업적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아프가니스탄 독립과 인도 대륙 정치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프가니스탄 아미르 - 샤 슈자 두라니
    샤 슈자 두라니는 1803년부터 1809년까지, 그리고 1839년에 영국과 시크 왕국의 지원을 받아 아프가니스탄의 국왕을 역임했으며, 1842년 암살당했다.
도스트 모하마드 칸
기본 정보
년 경의 도스트 모하마드 칸의 미니어처 초상화
칭호아미르 알무미닌, 아미르 이 카비르, 위대한 아미르
계승아프가니스탄의 에미르
재위 기간1826년 여름 – 1839년 8월 2일, 1843년 – 1863년 6월 9일
전체 이름아미르 도스트 모하마드 칸 바라크자이
선임자술탄 모하마드 칸
후임자와지르 아크바르 칸, 셰르 알리 칸
배우자16명의 아내
자녀사망 당시 27명의 아들과 25명의 딸
왕조바라크자이 왕조
아버지사르다르 파인다 칸 모하마드자이 (사르프라즈 칸)
어머니자이나브 베굼
출생일1792년 12월 23일
출생지칸다하르, 두라니 제국
사망일1863년 6월 9일 (70세)
사망지헤라트,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매장지콰자 압드 알라 사원(가주르 가), 헤라트, 아프가니스탄
종교수니파 이슬람
군사 정보
참전 전투님라 전투 (1809년)
아톡 전투 (1813년)
도스트 모하마드의 잘랄라바드 원정 (1834년)
슈자 울물크 원정
카이버 고개 대치 (1834–1835년)
1838-39년 아프간 투르키스탄 원정
제1차 영국-아프간 전쟁
파르완 원정 (1840년)
1843년 하자라자트 원정
발흐 아프간 정복
칸다하르 정복
쿤두즈 아프간 정복
1862–1863년 헤라트 원정
추가 정보
페르시아어 표기دوست محمد خان
로마자 표기Dost Mohammad Khan
일본어 정보
일본어 이름ドースト・ムハンマド・ハーン
일본어 표기,
칭호아프가니스탄 수장
재위 기간1826년 - 1839년8월 2일, 1843년 - 1863년6월 9일
전체 이름아미르 도스트 무함마드 한 바라크자이
출생일1793년12월 23일
출생지칸다하르
사망일1863년 6월 9일
사망지헤라트
왕가바라크자이 가문
왕조바라크자이 왕조
아버지파인다 한
종교이슬람교수니파
한국어 정보
아프가니스탄의 군주미르바이스
압둘 아지즈
마흐무드
아슈라프
후세인
두라니 샤아흐마드
티무르
자만
마흐무드
슈자흐
알리
아유브
아미르도스트 모하마드 칸
바지르 악바르 칸
셰르 알리 칸
모하마드 아프잘 칸
모하마드 아잠 칸
모하마드 야쿱 칸
야유브 칸
압두르 라흐만 칸
하비불라 칸
나스룰라 칸
파디샤아마눌라 칸
이나야툴라 칸
사카우파 아미르하비불라 칼라카니
파디샤모하마드 나디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

2. 초기 생애 및 배경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792년 12월 23일 칸다하르에서 파슈툰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1] 그의 아버지 파인다 칸(Payinda Khan)은 바라크자이 부족의 우두머리이자 두라니 왕조의 관리였다. 그의 가문은 아브달(Abdali)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어머니는 아프간 키질바시(Afghan Qizilbash) 집단 출신이었다.[12][13][14][15][16] 그는 파슈토어, 페르시아어, 펀자브어, 터키어를 구사했으며, 모한 랄에 따르면 카슈미르어에도 능통했다.[17]

도스트 모하마드 칸의 아버지 파인다 칸 바라크자이의 초상화


도스트 모하마드는 두라니 부족 연합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으로, 부족장 파얀다 칸(سردار پاينده خان)의 아들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페르시아인이었다.[31] 바라크자이 부족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왕()을 배출한 사도자이 부족의 분파였으며, 사도자이 왕조에서 재상(와지르)을 배출한 부족이었다.[32]

1793년 티무르 샤 두라니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들 사이에 왕위 다툼이 벌어졌다.[34] 사도자이 왕조의 내란 속에서 바라크자이 부족은 세력을 확장했다.[32] 1818년, 캄란 왕자가 바라크자이 부족장이자 카불 주지사였던 무함마드 아짐(도스트 모하마드의 형)을 살해하자,[35][36] 바라크자이 부족은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도스트 모하마드 역시 카슈미르에서 진격하여 페샤와르와 카불을 점령했다.[37] 이로써 사도자이 왕조는 헤라트에만 세력을 남기고 사실상 붕괴되었다.[36][37]

그의 형이자 바락자이의 우두머리였던 파테 칸은 1800년 마흐무드 샤 두라니를 아프가니스탄 군주로 옹립하고 1809년 왕위에 복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그의 형 파테 칸과 함께 시크 제국에 맞서 아톡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흐무드 샤는 파테 칸을 암살하여 그의 부족의 적개심을 샀다. 이후 벌어진 갈등으로 마흐무드 샤는 헤라트를 제외한 모든 영토를 빼앗겼고, 그의 영토는 파테 칸의 형제들에게 분할되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가즈니를 받았고, 1826년에는 카불을 추가로 얻었다.[29]

2. 1. 가문 및 혈통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792년 12월 23일 칸다하르에서 태어났다. 그는 두라니 제국의 유력한 파슈툰 가문 출신이었다.[11] 그의 아버지 파인다 칸(Payinda Khan)은 바라크자이 부족의 우두머리이자 두라니 왕조의 관리였다. 도스트 모하마드 칸의 가문은 아브달(Abdali) 부족의 창시자로부터 이어져 내려온다.[12] 그의 어머니는 아프간 키질바시(Afghan Qizilbash) 집단 출신이었다.[13][14][15][16]

그는 두라니 부족 연합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으로, 부족장 파얀다 칸(سردار پاينده خان)의 아들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페르시아인이었다고 한다.[31] 바라크자이 부족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왕()을 배출한 사도자이 부족의 분파였으며, 사도자이 왕조에서 재상(와지르)을 배출한 부족이었다.[32]

사도자이 왕조(협의의 두라니 왕조)는 부족적인 지배의 국가였으며, 왕은 동료들 중 가장 뛰어난 자라는 위치에 있었고, 전제적인 지배자는 아니었다.[33]

2. 2. 초기 생애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792년 12월 23일 칸다하르에서 파슈툰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1] 그의 아버지 파인다 칸은 바락자이 부족의 우두머리이자 두라니 왕조의 관리였다. 도스트 모하마드 칸의 가문은 아브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2] 그의 어머니는 아프간 키질바시 집단 출신이었다.[13][14][15][16] 그는 파슈토어, 페르시아어, 펀자브어, 터키어를 구사했으며, 카슈미르어에도 능통했다.[17]

도스트 모하마드는 두라니 부족 연합의 바라크자이 부족 출신이다. 그의 아버지 파얀다 칸(سردار پاينده خان)은 부족장이었으며, 어머니는 페르시아인이었다.[31] 바라크자이 부족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왕()을 배출한 사도자이 부족의 분파였으며, 사도자이 왕조에서 재상(와지르)을 배출한 부족이었다.[32]

1793년 티무르 샤 두라니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들 사이에 왕위 다툼이 벌어졌다.[34] 사도자이 왕조가 내란 상태에 빠진 틈을 타 바라크자이 부족은 세력을 확장했다.[32] 1818년, 캄란 왕자가 바라크자이 부족장이자 카불 주지사였던 무함마드 아짐(도스트 모하마드의 형)을 살해하자,[35][36] 바라크자이 부족은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36] 도스트 모하마드도 카슈미르에서 진격하여 페샤와르와 카불을 점령했다.[37] 이로써 사도자이 왕조는 헤라트에만 세력을 남기고 사실상 붕괴되었다.[36][37]

그의 형이자 바락자이의 우두머리였던 파테 칸은 1800년 마흐무드 샤 두라니를 아프가니스탄 군주로 옹립하고 1809년 왕위에 복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그의 형 파테 칸과 함께 시크 제국에 맞서 아톡 전투에 참전했다. 마흐무드 샤는 파테 칸을 잔혹하게 암살하여 그의 부족의 적개심을 샀다. 피비린내 나는 갈등 끝에 마흐무드 샤는 헤라트를 제외한 모든 영토를 빼앗겼고, 그의 영토는 파테 칸의 형제들에게 분할되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가즈니를 받았고, 1826년에는 카불을 추가로 얻었다.[29]

3. 권력 장악 과정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792년 12월 23일 칸다하르의 파슈툰족 유력 가문에서 태어났다.[11] 그의 가문은 아브달 부족의 창시자로부터 이어지는 혈통이었다.[12] 그의 형 파테 칸은 마흐무드 샤 두라니를 아프가니스탄 군주로 옹립하고 복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형과 함께 시크 제국에 맞서 아톡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흐무드 샤는 파테 칸을 잔혹하게 암살했고, 이는 부족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벌어진 갈등으로 마흐무드 샤는 헤라트를 제외한 모든 영토를 잃었고, 영토는 파테 칸의 형제들에게 분할되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가즈니를 받았고, 1826년에는 카불을 추가로 얻었다.[29] 카불을 장악한 후 을 자칭하며 국가를 건설했고, 가즈니잘랄라바드도 지배했다.[37]

1835년부터 도스트 모하마드는 아미르를 자칭했다. 라는 칭호를 사용한 사도자이 왕조와 달리, 아미르라는 이슬람식 호칭은 시크교도나 인도 영국인에 대한 종교적 의미를 담고 있었다.[39]

3. 1. 두라니 왕조의 쇠퇴

두라니 부족 연합의 바라크자이 부족은 당시 아프가니스탄의 왕()을 배출한 사도자이 부족의 분파였으며, 사도자이 왕조에서 재상(와지르)을 배출한 부족이었다.[32]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이 바라크자이 부족장 파얀다 칸(سردار پاينده خان)의 아들이었다.[31]

사도자이 왕조(협의의 두라니 왕조)는 부족적인 지배의 국가였으며, 왕은 동료들 중 가장 뛰어난 자라는 위치에 있었고, 전제적인 지배자는 아니었다.[33] 영토는 페샤와르, 카슈미르, 칸다하르, 카불의 여러 주로 나뉘어 각각 왕족이 통치하고 있었다.[33] 1793년에 제2대 국왕 티무르 샤 두라니가 죽자, 그의 아들들(자만 샤 두라니, 마흐무드 샤 두라니, 슈자 샤) 사이에 항쟁이 벌어졌다.[34] 사도자이 왕조가 내란 상태에 빠지는 가운데, 바라크자이 부족은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32]

1818년, 바라크자이 부족의 세력 확장을 싫어한 캄란 왕자(당시 왕위에 있던 마흐무드 샤 두라니의 아들)가 부족장이자 카불 주지사였던 무함마드 아짐(다른 이름은 파트후 칸, 1778년 - 1818년. 도스트 무함마드의 형[35])을 살해하자,[36] 바라크자이 부족은 각지에서 반란을 일으켰다.[36] 도스트 무함마드도 카슈미르에서 진격하여 페샤와르와 카불을 함락시켰다.[37] 사도자이 왕조는 헤라트에 세력을 남겼지만,[37] 사실상 붕괴되었다.[36]

도스트 모하마드의 형이자 바라크자이의 우두머리였던 파테 칸은 1800년 마흐무드 샤 두라니를 아프가니스탄의 군주로 옹립하고 1809년 왕위에 복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그의 형이자 카불의 총리였던 파테 칸과 함께 침략해 온 시크 제국의 시크족에 맞서 아톡 전투에 참전했다. 마흐무드 샤는 파테 칸의 공을 보답하는 대신 1818년 그를 잔혹하게 암살하여 그의 부족의 적개심을 사게 되었다. 피비린내 나는 갈등 끝에 마흐무드 샤는 헤라트를 제외한 모든 영토를 빼앗겼고, 그의 영토는 파테 칸의 형제들에게 분할되었다. 이 중 도스트 모하마드는 가즈니를 받았고, 1826년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부유한 주인 카불을 추가로 얻었다.[29]

3. 2. 카불 장악과 아미르 즉위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1826년 아프가니스탄에서 가장 부유한 주인 카불을 차지했다.[29] 1826년, 바락자이 부족은 영토를 분할했는데,[37] 이때 도스트 모하마드는 카불을 장악하고 을 자칭하며 국가를 건설했다. 당시 카불 외에 가즈니, 잘랄라바드도 그의 지배하에 있었다.[37] 그의 형 코한델 한은 칸다하르를,[36] 카무란 왕자와 재상 야르 무함마드 한의 사도자이 왕조 잔존 세력은 헤라트를 근거지로 하여,[36] 아프가니스탄은 삼국 분립 상태가 잠시 동안 지속되었다.[38]

즉위 초, 도스트 모하마드는 펀자브 지역의 시크 지도자 란짓 싱과 분쟁에 휘말렸다. 란짓 싱은 폐위된 사도자이 왕자 샤 슈자 두라니를 이용했다. 1834년 샤 슈자는 왕국을 되찾으려 했으나,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얄랄라바드 원정을 시작으로 칸다하르로 진격하여 샤 슈자를 패퇴시켰다. 그러나 란짓 싱은 이 기회를 틈타 페샤와르를 병합했다. 1837년, 도스트 모하마드는 아들 와지르 악바르 칸을 보내 자무르드 전투에서 시크족을 물리쳤다.[11]

1835년부터 도스트 모하마드는 아미르를 자칭했다. 사도자이 왕조의 왕은 라는 이란식 칭호를 사용했고,[39] 아미르라는 이슬람식 호칭은 시크교도나 인도의 영국인에 대한 종교 의식의 표현으로 여겨진다.[39] 즉위 당시 그의 정부 수입은 약 50만 루피였으며, 1830년대에는 2500억로 증가했다.[29]

4.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영국은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내 군대 주둔을 요구했지만, 도스트 모하마드는 페샤와르 회복을 대가로 요구했다. 아프가니스탄의 강화를 바라지 않던 영국은 구 왕가 사도자이의 옛 국왕 슈자 샤와 손을 잡고 1838년 아프가니스탄에 선전포고를 했다(제1차 아프간 전쟁).

1839년 8월, 영국군은 카불을 점령했고, 도스트 모하마드는 영국에 붙잡혔다.[30] 슈자 샤는 영국의 후원 하에 아프가니스탄 국왕이 되었다.[40] 그러나 영국은 카불과 젤랄라바드 등 일부 지역만 지배했고, 슈자 샤는 신망이 없었다.[40] 각지에서 반란이 발발하자, 도스트 모하마드는 탈출했지만 결국 영국에 항복하고 인도로 추방되었다.[37]

1842년 영국군이 철수하고 슈자 샤가 암살되자,[30] 영국은 전쟁 지속을 포기하고 도스트 모하마드의 귀국을 허락했다.

4. 1. 영국의 침공과 카불 함락

영국은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군대 주둔을 요구했지만, 도스트 모하마드는 이에 대해 페샤와르의 회복을 대가로 요구했다. 아프가니스탄의 강화를 바라지 않던 영국은 구 왕가 사도자이의 옛 국왕 슈자 샤와 손을 잡고 1838년 아프가니스탄에 선전포고를 했다(제1차 아프간 전쟁).

1839년 8월,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영국군은 카불을 점령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영국에 붙잡혔고,[30] 슈자 샤는 영국의 후원 하에 아프가니스탄 국왕이 되었다.[40] 그러나 영국은 카불과 젤랄라바드 등 일부 지역만 지배하고 있었으며,[40] 괴뢰 군주였던 슈자 샤는 신망이 없었다.[40] 각지에서 침략군에 대한 반란이 발발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이 기회를 틈타 탈출했지만, 결국 영국에 항복하고 인도로 추방되었다.[37]

4. 2. 저항과 추방

영국은 러시아에 대항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군대 주둔을 요구했지만, 도스트 무함마드는 페샤와르의 회복을 대가로 요구했다. 아프가니스탄의 강화를 바라지 않던 영국은 구 왕가 사도자이의 옛 국왕 슈자 샤와 손을 잡는 것을 선택하고, 1838년 아프가니스탄에 선전포고를 했다(제1차 아프간 전쟁).[30]

영국군은 1839년 8월 카불을 점령했고, 도스트 무함마드는 영국에 붙잡혔다.[30] 슈자 샤는 영국의 후원 하에 아프가니스탄 국왕이 되었다.[40] 그러나 영국은 카불과 젤랄라바드 등 일부 지역만을 지배하고 있었고,[40] 괴뢰 군주인 슈자 샤에게는 신망이 없었다.[40] 각지에서 침략군에 대한 반란이 발발했다. 도스트 무함마드는 이 기회를 타고 탈출했지만, 결국 영국에 항복하고 인도로 추방되었다.[37]

5. 복위와 통치 후반기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치세 후반 칸다하르마자르이샤리프를 지배하에 두었고,[37] 그 세력은 아무다리야 강 이남의 투르키스탄에까지 미쳤다.[39] 1863년 사도자이 가문의 손에 있던 헤라트를 병합하여,[30] [39] [37]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세력 범위를 거의 통합했다.[39]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헤라트 점령 13일 후에 서거했다.[37] 그의 아들 샤르 알리 칸이 뒤를 이었지만,[37] 이후 샤르 알리 칸과 그의 이복형제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발발했다.

5. 1. 귀환과 재집권

1842년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난 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영국과의 관계 개선 덕분에 자신의 국가를 확장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21][22][23] 그는 캘커타 망명 생활 동안 따뜻한 대접을 받았으며, 영국의 기술적 우월성에 주목했다. 도스트 무함마드는 영국과의 끊임없는 전쟁이 아프가니스탄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확신하고, 영국과의 동맹을 국가 생존을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지지했다.[22][23]

1843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아프가니스탄으로 귀환하여 다시 권력을 장악했다.[37] [30] 그는 영국군의 침략으로 권력 공백이 발생한 틈을 타 독립했던 하자라자트(베흐수드, 다이 잔기, 다이 쿤디)와 바미안을 정복했다.[4][23][21] 1846년에는 코히스타니 타지크인의 타가브 반란을 진압하고, 전통적으로 반항적인 그 지역에서 자신의 지위를 강화했다.[4][23][21]

제1차 영국-시크 전쟁과 제2차 영국-시크 전쟁으로 시크 제국의 위협이 제거되면서,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영국의 도움을 받아 왕국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자신과 영국이 중앙 아시아에서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깨달았다.[22] 1848년 7월, 발흐 정복을 위한 군대 파견이 제2차 영국-시크 전쟁으로 인해 1년 연기되었다.[22][21] 시크교도들이 페샤와르를 아프가니스탄에 할양하겠다고 제안했지만(실현되지 않음), 도스트 무함마드는 무함마드 아크람 칸 지휘 하에 5,000명의 아프가니스탄 군대를 파견하여 시크교도들을 도왔다.[22][4][23] 시크교도들이 패배하고 영국이 페샤와르를 탈환하자, 카불에서는 영국이 승리 후 아프가니스탄을 침략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었지만, 이는 일어나지 않았다. 1849년 봄, 도스트 무함마드는 그의 아들 무함마드 아크람 칸을 발흐 침공에 보냈다.[22][21][23]

1855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영국과 우호 조약(페샤와르 조약)을 체결했다.[37] [30] 제1차 아프간 전쟁 종결 후, 그는 영국에 협력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란(가자르 왕조)의 나세르 앗딘 샤가 헤라트를 공격하여 발생한 영국-페르시아 전쟁(1856년-1857년)[30]세포이 항쟁(1857년-1859년)에서도 영국을 지원했다.

5. 2. 아프가니스탄 통일 노력

1842년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난 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영국과의 관계 개선을 바탕으로 국가를 확장해 나갔다.[21][22][23] 그는 영국과의 지속적인 전쟁이 아프가니스탄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판단하고, 영국과의 동맹을 통해 국가의 생존을 도모했다.[22][23]

1843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하자라자트(베흐수드, 다이 잔기, 다이 쿤디)와 바미안을 정복했다.[4][23][21] 1846년에는 코히스타니 타지크인의 반란을 진압하고, 이 지역에서 그의 지위를 강화했다.[4][23][21]

제2차 영국-시크 전쟁으로 인해 발흐 정복 계획은 지연되었지만, 1849년 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아들 무함마드 아크람 칸을 보내 발흐를 침공하여 성공적으로 아프가니스탄에 병합했다.[22][21][23] 1850년에는 굴람 하이달 칸이 타슈쿠르간을 정복했다.[21]

1862년, 아흐마드 칸이 파라를 점령하자, 도스트 무함마드 칸은 이를 전쟁 명분으로 삼아 헤라트를 공격했다. 1863년 5월 27일, 10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헤라트를 함락했다.[27]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치세 후반에 칸다하르마자르이샤리프를 지배하에 두었고,[37] 1863년에는 헤라트를 병합하여 현재 아프가니스탄의 세력 범위를 거의 통합했다.[39][37][30]

6. 외교 관계

영국, 러시아, 프랑스 세 열강의 제국주의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정치적 책략을 구사해야 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러시아의 접근을 거부하고 대영제국과의 동맹을 모색했으며, 1837년 알렉산더 번즈를 카불로 초청했다.[18] 그러나 번즈는 오클랜드 경에게 에미르(도스트 모하마드 칸)의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지 못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페샤와르 회복 시도를 포기하고 외교 정책을 영국의 지휘 하에 두라는 요구를 받았다. 이에 도스트 모하마드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복원하는 것으로 대응했고, 1838년 오클랜드 경은 군대를 동원해 그를 압박했다.[18] 영국은 아프가니스탄 통치자를 전복시킬 명분을 만들기 위해 증거를 조작하기도 했다.

6. 1. 영국과의 관계

1842년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이 끝난 후,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영국과의 관계 개선 덕분에 자신의 국가를 확장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21][22][23] 그는 캘커타에서의 망명 생활 동안 따뜻한 대접을 받았고, 영국의 기술적 우월성에 주목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영국과의 끊임없는 전쟁이 아프가니스탄에 피해를 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고, 국가 생존을 위해 영국과의 동맹을 지지했다.[22][23]

제1차 영국-시크 전쟁제2차 영국-시크 전쟁을 통해 시크 제국의 위협이 제거되면서,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영국의 도움을 받아 왕국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영국과 중앙아시아에서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을 깨달았다.[22]

1855년 3월 30일,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허버트 에드워드스가 제안하고 펀자브 총재 헨리 로렌스 경이 서명한 영국 정부와의 공수동맹을 체결했다.[25] 1857년에는 영국과 함께 페르시아에 선전포고했고, 7월에는 헤라트 주가 바라크자이 왕자의 통치하에 놓이도록 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 1857년 세포이 항쟁 당시 도스트 모하마드는 반란군을 돕지 않았다.

1843년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귀국하여 다시 아프가니스탄의 실권을 장악했고,[37] [30] 1855년에는 영국과 우호 조약(페샤와르 조약)을 체결했다.[37] [30] 제1차 아프간 전쟁 종결 후에는 영국에 협력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란(카자르 왕조)의 나세르 앗딘 샤가 헤라트를 공격한 것을 계기로 일어난 영국-페르시아 전쟁(1856년-1857년)[30]과 세포이 항쟁(1857년-1859년)에서도 영국을 지원했다.

6. 2. 러시아, 페르시아와의 관계

영국, 러시아, 프랑스 세 열강의 제국주의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정치적 책략을 구사해야 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러시아의 접근을 거부하고 대영제국과의 동맹을 모색했으며, 1837년 알렉산더 번즈를 카불로 초청했다.[18] 그러나 번즈는 오클랜드 경에게 에미르(도스트 모하마드 칸)의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지 못했다. 도스트 모하마드는 페샤와르 회복 시도를 포기하고 외교 정책을 영국의 지휘 하에 두라는 요구를 받았다. 이에 도스트 모하마드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복원하는 것으로 대응했고, 1838년 오클랜드 경은 군대를 동원해 그를 압박했다.[18]

7. 시크 제국과의 전쟁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즉위 초부터 펀자브 지역의 시크 지도자 란짓 싱과 갈등을 겪었다. 란짓 싱은 폐위된 사도자이 왕자 샤 슈자 두라니를 자신의 편으로 이용했다. 1834년 샤 슈자는 자신의 왕국을 되찾으려 시도했고,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얄랄라바드 원정을 시작으로 칸다하르로 진격하여 샤 슈자를 격퇴했다. 그러나 란짓 싱은 이 기회를 틈타 페샤와르를 병합했다.

1837년, 도스트 모하마드는 아들 와지르 악바르 칸을 보내 잠루드 전투에서 시크 제국군과 싸우게 했다.[11] 이 전투에서 시크교 장군 하리 싱 날와가 사망했지만, 아프간 군은 결국 물러났다. 이후 1839년, 영국의 도움으로 샤 슈자가 카불의 왕위에 복귀하면서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인도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1842년 샤 슈자가 암살되자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다시 권좌로 돌아왔고, 이후 시크 왕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이어졌다.

7. 1. 잠루드 전투

1836년, 시크교 장군 하리 싱 날와는 카이버 고개를 방어하기 위해 고개 동쪽 끝 잠루드에 요새를 건설했다.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고개 반대편 끝에 알리 마스지드 요새를 건설하여 대응했다.[11] 1837년 초, 나우 니할 싱 왕자의 결혼식으로 인해 시크 군주와 궁정이 분주한 틈을 타,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대규모 병력을 잠루드에 파견했다.

아프간 군대는 2만 5천 명의 병력과 18문의 대포를 동원하여 잠루드 요새를 포위하고 물 공급을 차단했다. 잠루드의 시크교 수비대는 600명과 소수의 경포병뿐이었으나, 사령관 마한 싱 미르푸리는 4일 동안 아프간 군을 저지하며 페샤와르의 하리 싱 날와에게 지원을 요청했다.[11] 병상에 있던 하리 싱 날와는 즉시 잠루드로 달려갔다.

1837년 4월 30일 벌어진 최종 전투에서 하리 싱 날와가 전사했으나, 아프간 군은 전투에서 철수했다.[19] 이 전투의 결과, 1839년 샤 슈자가 영국의 지원을 받아 카불의 왕좌에 복위되었고,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인도로 추방되었다.[19][20] 그러나 1842년 샤 슈자가 살해되자 도스트 모하마드 칸은 다시 권좌로 복귀했다. 이 사건들은 제1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8. 도스트 모하마드 칸에 대한 기록



제1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군인이자 화가이며, 아프가니스탄 민속지를 남긴 제임스 래트레이는 도스트 무함마드를 "아프가니스탄의 크롬웰"이라고 평가했다.[34]

래트레이는 1841년 1월 5일, 도스트 무함마드가 국사범으로 인도로 호송되는 도중 그를 만났다.[31] 그는 만남 당시 도스트 무함마드의 "관대한 태도와 지적인 표정"과, 억류된 채 이국으로 보내지는 것에 대한 불만 등을 호의적으로 묘사했다.[31]

래트레이는 전기적 서술에서 "통치자로서 그는 공정하고 자비로우며, 국가의 여러 문제에 잘 배려했고, 또한 매우 관대하고 사교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인도에서 포로 생활을 하는 동안 카불 시장에서 "정의와 도스트 무함마드는 어디로 갔는가"라는 소리가 나왔다고 기록했다.[31]

한편, 래트레이는 젊은 시절의 도스트 무함마드에게는 "변덕스럽고 부정직하며 집요하다"는 평판이 있었다고도 기록하고 있으며,[31] 1848년 저서 출판 당시 왕위에 복귀한 도스트 무함마드가 "이전 그의 소박한 인격이나, 허식과 의례에 대한 혐오와는 완전히 모순되는 행동"을 하고 있다고 비판적으로 적고 있다.[31]

참조

[1] 웹사이트 DŌST MOḤAMMAD KHAN https://iranicaonlin[...] 2021-08-14
[2] 웹사이트 DŌST MOḤAMMAD KHAN https://iranicaonlin[...] 2020-12-24
[3] 서적 The Return of a King: The Battle for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20-06-15
[4] 서적 The History of Afghanistan (6 vol. set): Fayż Muḥammad Kātib Hazārah's Sirāj al-tawārīkh https://books.google[...] BRILL 2012-12-19
[5] 서적 A History of Afghanistan, from 1793 A.D. to 1865 A.D. New York University
[6] 서적 A Political and Diplomatic History of Afghanistan, 1863-1901 https://books.google[...] Brill 2006
[7] 백과사전 Dost Mohammad Khan http://www.britannic[...]
[8] 백과사전 Anglo-afghan wars
[9] 백과사전 DŌSTMOḤAMMAD KHAN http://www.iranicaon[...] Columbia University
[10] 서적
[11] 서적 The A to Z of Afghan Wars, Revolutions and Insurgencie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04-03
[12] 서적 Life of the Amîr Dost Mohammed Khan, of Kabul: with his political ...
[13] 웹사이트 DŌST MOḤAMMAD KHAN – Encyclopaedia Iranica https://iranicaonlin[...] 2021-02-22
[14] 백과사전 DŌSTMOḤAMMAD KHAN Columbia University
[15] 서적 The Rise of Afghanistan Da Capo Press
[16] 서적 The Rise of Afghanistan Da Capo Press
[17] 서적 State and Tribe in Nineteenth-Century Afghanistan: The Reign of Amir Dost Muhammad Khan (1826–1863)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 백과사전
[19] 백과사전 Ranjit Singh https://www.britanni[...]
[20] 서적 The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1] 서적 State and Tribe in Nineteenth-Century Afghanistan: The Reign of Amir Dost Muhammad Khan (1826–186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6-25
[22] 서적 The "Ancient Supremacy": Bukhara, Afghanistan and the Battle for Balkh, 1731-1901 https://books.google[...] BRILL 1996-01-01
[23] 서적 Afghanistan: A History from 126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019-01-15
[24] 웹사이트 AFŻAL KHAN, AMIR MOḤAMMAD https://iranicaonlin[...] 1984
[25] 백과사전
[26] 서적 The Pearl in Its Midst: Herat and the Mapping of Khurasan (15th–19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14
[27] 서적 The cyclopædia of India and of eastern and southern Asia https://books.google[...] Bernard Quaritch
[28] 논문 Evolution of Eastern Iranian boundaries: Role of the Khozeimeh Amirdom of Qaenat and Sistan. https://eprints.soas[...] SOAS University of London 1993
[29] 서적 Aid Paradoxes in Afghanistan: Building and Undermining the Stat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8-14
[30] 서적 ドゥースト・ムハンマド 岩波書店
[31] 웹사이트 作品2■アミール・ドースト・ムハンマド・ハーンおよび彼の末の息子 http://www.aa.tufs.a[...]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20-07-04
[32] 웹사이트 バーラクザーイー https://kotobank.jp/[...] 2017-05-27
[33] 서적 世界現代史11 中東現代史I 山川出版社
[34] 웹사이트 作品3■シャー・シュジャー・アル=ムルクの宮殿の内部 http://www.aa.tufs.a[...]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20-07-04
[35] 서적 世界現代史11 中東現代史I 山川出版社
[36] 서적 コラム 19世紀アフガニスタンの対周辺国関係 日本貿易振興機構アジア経済研究所 2008
[37] 웹사이트 ドースト・ムハンマド https://kotobank.jp/[...] 2017-08-09
[38] 웹사이트 概要 アフガニスタンについて http://www.aa.tufs.a[...]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17-05-27
[39] 서적 世界現代史11 中東現代史I 山川出版社 1982
[40] 서적 世界現代史11 中東現代史I 山川出版社 1982
[41] 서적 世界現代史11 中東現代史I 山川出版社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